강아지 사료 업계의 민낯 - 원재료와 표시방법
오늘은 조금 무거운 주제를 다뤄봅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강아지와 고양이.
이제는 마당에서 목줄을 채워 집을 지키는 개가 아닌 우리와 함께 하는 가족이며 , 길에서 먹을 것을 찾아다니는 짐승이 아닌 사랑스런 가족이 되었습니다.
가족의 일원이 된 녀석들의 건강과 영양을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먹거리 일텐데요.
그러기 위해서는 모든 보호자들이 아이들의 먹거리와 관련있는 사료에 대해 조금은 아셔야 합니다.
우리가 조금만 알아도 우리 아이들이 좀 더 행복하게 살 수 있습니다.

고급화다 유기농이다 하면서 많은 업체들이 올바른 재료만을 사용하고 깨끗한 방법으로 사료를 만들고 고품질의 단백질 영양소를 가지고 있다고 하는데요. 일부는 맞지만 일부는 틀립니다.
그럼 이제 부터 어떤 회사들이 어떤 방법으로 나쁜 사료를 좋은 사료로 만드는지 사료 시장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기본적으로 사료를 고르실때 어떤 부분을 가장 많이 보시나요?
대부분의 반려동물 가족분들 중 가장 많은 분들이 어떤 단백질 공급원이 있는지 보실 것이며 그 다음으로 사료에 들어 있는 단백질의 양을 보실 거에요.
이건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응답 조사 결과로 보여지는 수치입니다.
그렇게 단백질 공급원과 양을 보시는 이유는 이런 표시들이 사료를 고급제품이고 건강한 먹거리로 보인다고 믿으며, 제대로 따져 골랐다고 생각하기에 표시 라벨에 기재되어 있는 성분을 보며 사료를 선택합니다. 그러다 보니 일부 업체들은 이런 소비자들을 유혹하기 위해 단백질의 양이 많은 것 처럼 표기하려고 여러 편법들을 사용합니다.
그러면 반려동물 사료의 어떤 원재료를 사용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공급되는지? 그리고 포장지에 표시되어 있는 성분의 내용을 어떻게 봐야 하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사료의 포장지에는 제품에 대한 모든 미사여구를 사용합니다. 누가봐도 엄청난 고기 단백질이 들어있는 것처럼 표시를 합니다.
단백질은 사료의 성분중에서 단가가 비싼 재료에 들어갑니다. 그래서 많은 회사들이 마치 단백질이 정말 많이 함유되어 있는 것처럼 홍보를 하는 것이 문제인거죠. 그래서 어떤 원재료를 사용하며 단백질 함유량 보는 법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그럼 강아지 사료의 원재료는 어떤 기준으로 준비를 할까요?
법적으로는 아무 근거도 없습니다.
사람의 식재료와 음식은 여러가지 절차가 준비되면서 다양한 인증이나 증명을 통해 사람이 먹기에 적합한 기준을 갖춘 재료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믿을 수 있는 제조사가 만든 제품을 따져봐야 합니다.
수입제품인 경우도 예외는 없습니다.
원재료에 대한 관리 지침은 존재 하지 않다.
반려동물 선진국이라고 부르고 있는 미국의 경우를 봐도 원재료에 대한 규제나 법이 전혀 없습니다. 이미 가공된 재료를 가지고 유통하고 가공하는지에 대한 규정만 있을 뿐 입니다. 정부기관이 아닌 AAFCO라는 사기업에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서 표준인것처럼 말을 하지만 아무런 강제사항이 없는 그냥 권고사항일 뿐입니다.
다른 말로는 사람이 먹기에 기준이 미달인 제품을 반려동물 사료 시장으로 가지고 와서 가공을 한다고 하더라도 문제가 되지 않는 다는 부분입니다.
다시 정리하면 사람이 먹는 음식으로 납품하기게 내용물이 불량하거나 부적합 것들 , 도축장에서 버려지는 고기나 장기들, 가정이나 식당에서 나오는 음식물 쓰레기들 이걸 어디에 사용해도 되는거죠.
사료업계에서 어글리 트루스 라고 하는 불편한 진실이죠.
이미 기사에서 보신적이 있으실 거에요.
안락사된 개 사체 , 사료로 가공돼 유통
이런 사료 섭취로 살아있는 개들까지 안락사 약물에 내성 생겨
한국일보 라이프
거대 사료시장에 대해 조사한 앤 마팅의 <개,고양이 사료의 진실>에는 얼마나 오랜기간동안 유기동물 사체가 개, 고양이 사료로 사용되었으며, 이런 내용을 기업들이 어떻게 숨겨왔는지등 반려동물 사료 시장에 관한 내용을 실랄하게 표현했다. 미국식품의약청(FDA) 수의학 센터에서 개를 안락사시킬때 사용되는 약물이 효과가 계속 떨어진다는 수의사들의 의견을 듣고 미국 사료의 대한 조사에 들어간적이 있다. 실험결과 약 30개의 사료에서 약물이 검출되었다. 심지어 사료에서 추출한 약물의 성분을 개에게 투여한 결과 개의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결론을 내었다. 그만큼 위험한 약물이다. 이런 약품이 발견되는 데도 이런 원재료를 사용한다.
이런 재료를 열처리와 약품처리하여 만들어지는 육류를 랜더링 밑(정제고기) 이라고 하며, 미국에서는 랜더링 고기는 합법입니다.
미국에서의 랜더링 밑은 심지어 로드킬한 야생동물, 안락사를 당한 개나 고양이들을 고온 열처리 하여 재사용하는 것이 합법입니다. 한마디로 버려진 고기 사체 재활용 공장에서 나온 제품입니다.
이런 공장들은 4가지 종류의 원재료를 사용합니다.
4D
죽은 고기(Dead) , 병든 고기(Diseased), 죽어가는 고기(Dying), 사용할 수 없는 고기(Disabled).
한국에서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해서 논란이 된적이 있죠. 유기견의 사체를 사용하여 사료를 제조했었죠.
국내에서는 안락사한 동물을 사료로 사용하는 것은 불법이라고 되어 있으나 걸리지 않으면 아무도 모릅니다. 왜냐하면 원재료와 관련된 부분은 증명을 할 필요가 없으니까요. 납품 상태가 불량한 고기나 이런 부분에 대해서는 어떤 기준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이런과정을 통해 생산된 단백질들은 반려동물 산업에 사용하거나 양식장의 사료로 사용됩니다.
2000년대 부터는 소와 양의 골분에서 나오는 부분이 사람에게 전이 될 수 있다는 결과가 나와서 소와 양의 골분은 수입에 일부 제한이 있습니다.
유일하게 어떤 제한도 없는 국가가 전세계에서 청정지역으로 인정하는 호주와 뉴질랜드산 소와 양 제품 입니다.
그래서 호주산 사료와 뉴질랜드산 간식들이 주로 비싸죠.
여기서 보실 수 있죠. 양질의 고기 단백질은 비쌉니다.
제대로 된 단백질을 사용하지 않은 사료는 싸다.
우리가 가족처럼 생각하는 반려동물의 먹거리를 일부 업자는 돈벌이로만 이용할 뿐이지 아이들의 건강따위는 자기들의 양심과 성공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전혀 신경쓰지 않는거죠.
하지만 이런 사료를 계속 급여하면 아이들은 알러지와 각종 질환으로 고생하며 살다가 죽을수록 있습니다.

단백질 함량이 많게 보이기 위한 표기방법 알아보기
앞에서도 말씀드렸지만 비싼 고기 단백질의 원료를 제일 앞에 가장 많은 주성분처럼 보이게 하기 위해 사료 회사들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합니다.
사료회사들이 단백질 함량을 높게 보이게 위해서 닭, 돼지, 소, 양고기, 생선을 더 많이 사용할까요?
아닙니다. 물론 정직한 회사들도 있습니다. 하지만 많은 사료 업체들은 단백질 성분이 많아 보이게 하려고 여러가지 방법을 연구합니다.
사료의 성분표를 보면 가장 함량이 많은 재료부터 제일 처음에 나열을 합니다.
그러면 고기의 성분을 가장 많이 보이게 하려면 어떤 방법을 쓸까요?

첫번째 부성분의 구성을 나누어서 단백질의 함량을 주성분으로 보이게 한다.
예를 들어 닭고기로 만든 사료가 있습니다. 그리고 부성분으로 콩류가 사용이 됩니다.
그런데 닭고기의 성분이 콩의 성분보다 적습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닭고기 성분이 많은 것 처럼 보이게 할 수 있을까요?
간단합니다. 콩류의 성분을 분리해서 등록을 하면 됩니다.
콩을 콩가루, 콩단백질, 콩류로 나누고 또다시 콩을 색상별로 다시 나누어서 등록을 합니다. 이렇게 하면 모든 성분은 나눠지고 고기의 성분이 가장 많은 함량으로 보이게 됩니다.
사료법에는 재료의 이름을 구분짓는 기준이 있습니다. 하지만 재료를 나누는 부분에 대한 기준은 없습니다.
이렇게 나누어지는 성분의 예는 생각보다 다양합니다.
예시) 쌀 - 백미,현미, 쌀겨 , 쌀껍질, 쌀가루 등등
쌀의 성분이 30%이상이라고 하더라도 이렇게 5가지로 나누면 성분은 약 6%밖에 함유되지 않는 걸로 보이죠. 모두 쌀입니다.
감자 - 건조감자, 전분, 감자단백질, 감자가루등
지금 바로 옆에 있는 사료 봉지를 들어 얼마나 많은 원료가 들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주성분이 30% 이상이라고 했는데 나머지 원료들이 정말 많이 보이실 겁니다. 물론 이걸 기능성으로 포장하여 마케팅으로 활용을 합니다.

두번째 그렇다면 실제 소고기가 들어간 사료의 소고기 함량은 맞는 것일까?
일부는 맞고 일부는 틀리다.
이것은 건사료와 습식사료의 표시방법에 차이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습식사료가 건식사료보다 같은 원료라면 조금 더 비싸죠?
그럼 우리 옆에 있는 건식사료 봉투를 들어 단백질 함량을 한번 봐주세요.
고급의 사료라고 한다면 조단백이 35%이상 그리고 내용을 보면 수분량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수분은 11% 이하.
그리고 습식사료캔을 하나 확인해 봅니다. 어라 근데 비싼데 조단백질이 한 10%밖에 없고 심지어 수분이 85% 이네요.

왜 습식사료는 건식사료보다 단백질 함유량이 적을까요?
건식사료보다 가격이 더 비싼 습식사료가 진짜로 단백질 함유량이 적을까요?
여기에는 표기법의 차이가 있습니다.
AAFCO에 영양소 표시에 기준은 수분을 포함하는 기준으로 표시합니다.
일반적으로 사료 성분 표기에 나와 있는 성분표는 As fed 라고 하는 수분포함 성분 표시 법 입니다.
이 수분의 함량이 단백질의 함량을 다르게 보이게 합니다.

그러면 계산해 보겠습니다.
위 건사료 제품 : 전체함량 100에서 수분함량을 뺀 나머지를 100-11 = 89
단백질의 양은 35/89 * 100 = 39.32%
습식사료 제품은 전체함량 100에서 수분함량을 뺀 나머지 100-85=15
단백질의 양은 10/15 * 100 = 66.66 %
계산을 해보니 습식사료의 단백질 함량이 월등히 높은 것을 보실수 있습니다.
물론 39.32%와 66.66%가 적은 단백질 양은 아닙니다. 만약에 이것이 진짜 고기 단백질의 양이라면요.
사료의 표기에 보면 조단백질이라는 표현을 사용합니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조단백질이란 ? Crude protein.
왜 단백질의 표기를 조단백으로 표시할까요?
다른 말로는 Total protein 이라고 표시도 하는데 총단백질이라고 합니다.
조단백질은 실제로 식품에 존재하는 질소의 양을 사용하여 단백질 양을 추정하는 화학적 추정법의 결과로 순수 프로틴과 질소의 양이 결합된 총량을 말합니다.
또한 이런 조단백질 측정법은 고기단백질만을 측정하는 것이 아니고 식물이나 곡물에서 얻을 수 있는 단백질의 양을 포함해서 표시한다는 것입니다.
표기법이 그렇기도 하지만 조단백질은 고기 단백질의 함량이 아닌 단백질과 구성물의 함량을 표기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단백질은 순수한 단백질 표기만 하는 True protein 이라는 표기를 한 제품은 거의 찾아 보실수 없으실거에요.
그럼 위에서 39.32%가 단백질의 양이라고 표시되어 있지만 이것은 질소의 혼합물이 포함된 단백질이니 보통 10~20% 차이가 난다고 합니다. 여기에서 약 20%를 감하고 거기에 사료 성분에 콩이나 전분등이 들어가 있다면 고기 단백질의 함량은 엄청나게 줄어드는 겁니다. 결론적으로 고급이라고 불리우는 제품들도 대부분은 곡물 사료인거죠.
여기서 하나 더 왜 반려동물 가족들은 그레인프리 사료를 찾을까요?
그레인프리 사료라고 하면 보통 곡물류를 포함하지 않은 사료를 뜻하는데요. 구체적으로 밀,보리,옥수수 같은 볏과 식물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들을 말합니다.
유전적으로나 체질적으로 알러지 반을을 일으킬 수 있는 친구들이 있어서 그런 친구들을 위해 나오는 제품입니다.
강아지는 인간과 생활하며 잡식성의 가축으로 100% 육식만을 하기보다는 탄수화물,단백질,지방과 비타민, 미네랄의 다양한 섭취가 필요합니다. 그래서 위에 곡물류를 대체할 수 있는 탄수화물로 콩류와 고구마류를 사용합니다.
특별히 문제가 없다면 꼭 그레인프리 사료를 급여할 이유는 없습니다. 또한 그레인 프리 사료가 소화가 잘 되어서 급여하신다는 분도 계신데 이런 경우는 그레인 프리가 아닌 글루텐 프리 제품이 더 맞지 않나 생각이 듭니다.
위에서도 정리했지만 건강한 소화기관을 가진 녀석들은 글루텐프리나 그레인프리 제품을 먹이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레인 프리 사료는 무조건 좋다?
그렇지 않다는 미국의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그레인 프리사료 만을 급여한 경우 타우린 결핍을 초래하여 심장 관련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내용입니다.
그럼 마지막으로 정리해 봅니다.
- 믿을 수 있는 회사인지 꼼꼼히 따져본다.랜더링고기를 사용하지는 않는지? 출처 불분명한 재료를 사용하지는 않는지?
- 표시된 원재료를 꼼꼼히 살펴본다. 주성분이 무엇인지. 고기를 돋보이게 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추가 재료가 들어 갔는지 살펴본다.
- 단백질의 양을 계산해 본다. 조단백질의 양을 계산해 보고 다른 대체 단백질이 얼마나 들어 있는지 본다.
- 우리아이에게 필요한 기능성 사료를 확인해 본다. 그레인프리, 글루텐프리? - 반려동물이 어떤 원료에 알러지가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보통 특정 제품으로 알러지 하시는데 완제품 말고 원료로 테스트 해보세요. 만약 닭고기 사료 알러지가 있었다면 생닭을 급여해 보시고 이상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대부분의 아이들은 이런저런 다른 원료의 혼합물로 알러지가 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정보들은 정말로 좋은 제품을 제조하는 곳에서 받았습니다. 좋은 제품을 만드는 제조사가 잘되면 좋겠습니다.
일부 파렴치한 업체들, 비윤리적이고 양심없는 업체들이 더이상은 기준에 적합하지 않은 제품을 파는 것을 소비자는 알아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정리했습니다.

이렇게 조금만 따져봐도 우리의 반려동물을 위한 제품들은 조금 더 나아질거라 생각이 듭니다.
반려동물과 가족들의 건강과 행복을 위해.
다음편에서는 반려동물 간식에 대한 민낯에 대해서 정리해 보겠습니다.